2025년도 정기 기능사 시험일정 및 응시 안내
페이지 정보

본문
2025년 정기 기능사 시험일정은 다음과 같다.
제2회 시험은 필기시험 원서접수가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이며, 필기시험은 4월 10일에 시행된다. 합격자 발표는 4월 21일이고,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실기시험은 5월 31일부터 6월 15일 사이에 치러지며, 최종 합격자 발표일은 6월 27일이다.
제3회 시험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예정자에게만 필기 면제자 접수가 허용된다. 원서접수는 6월 9일부터 12일, 필기시험은 6월 23일이며 합격자 발표는 7월 16일이다.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7월 28일부터 31일까지이고, 실기시험은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된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9월 26일이다.
제4회 시험은 원서접수가 8월 25일부터 28일까지이며, 필기시험은 9월 20일과 25일에 시행된다. 합격자 발표는 10월 15일이고,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이다. 실기시험은 11월 22일부터 12월 10일 사이에 치러진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12월 19일이다.
원서접수 시간은 접수 시작일 오전 10시부터 마감일 오후 6시까지이며,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및 최종합격자 발표 시간은 오전 9시이다. 시험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 변경 사항은 반드시 Q-net 공지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수수료는 필기 14,500원, 실기 52,900원이다. 출제경향은 인물, 상품, 산업제품, 광고를 주 대상으로 하여 촬영 조건에 따른 카메라, 조명기구, 노출계, 컴퓨터, 프린터 등 촬영 장비를 활용하여 촬영, 현상 및 보조장비 운용 능력을 평가한다.
취득 방법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필기는 60문항 60분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진행된다. 실기는 작업형으로 5시간 30분 동안 사진작품을 촬영, 현상, 인화한 후 컴퓨터 저장 및 후보정을 거쳐 출력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합격기준은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이다.
안전등급은 레벨 1로, 취급하는 기계는 카메라, 컴퓨터, 프린터 등이며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제2회 시험은 필기시험 원서접수가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이며, 필기시험은 4월 10일에 시행된다. 합격자 발표는 4월 21일이고,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실기시험은 5월 31일부터 6월 15일 사이에 치러지며, 최종 합격자 발표일은 6월 27일이다.
제3회 시험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예정자에게만 필기 면제자 접수가 허용된다. 원서접수는 6월 9일부터 12일, 필기시험은 6월 23일이며 합격자 발표는 7월 16일이다.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7월 28일부터 31일까지이고, 실기시험은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된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9월 26일이다.
제4회 시험은 원서접수가 8월 25일부터 28일까지이며, 필기시험은 9월 20일과 25일에 시행된다. 합격자 발표는 10월 15일이고,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이다. 실기시험은 11월 22일부터 12월 10일 사이에 치러진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12월 19일이다.
원서접수 시간은 접수 시작일 오전 10시부터 마감일 오후 6시까지이며,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및 최종합격자 발표 시간은 오전 9시이다. 시험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 변경 사항은 반드시 Q-net 공지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수수료는 필기 14,500원, 실기 52,900원이다. 출제경향은 인물, 상품, 산업제품, 광고를 주 대상으로 하여 촬영 조건에 따른 카메라, 조명기구, 노출계, 컴퓨터, 프린터 등 촬영 장비를 활용하여 촬영, 현상 및 보조장비 운용 능력을 평가한다.
취득 방법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필기는 60문항 60분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진행된다. 실기는 작업형으로 5시간 30분 동안 사진작품을 촬영, 현상, 인화한 후 컴퓨터 저장 및 후보정을 거쳐 출력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합격기준은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이다.
안전등급은 레벨 1로, 취급하는 기계는 카메라, 컴퓨터, 프린터 등이며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 이전글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25.10.04
- 다음글사진기능사 웹사이트 공식 공개 안내 25.10.0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