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부방 | 50mm

사진공부방

본문 바로가기
50mm 사진기능사 모의고사 & 사진 트렌드 허브

사진공부방

사진공부방 — 광학과 노출 핵심 정리

사진 기본 이론과 실전 노출 운용을 한 페이지로 정리했습니다.

#사진기능사 #광학기초 #노출 #측광

사진은 빛을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빛의 물리적 성질과 카메라/렌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노출과 화질의 균형을 체계적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아래 요약은 실전 촬영과 시험 대비에 모두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1. 빛의 기본과 색온도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대략 380~700nm 입니다. 색온도(K)는 광원의 색 특성을 설명하며, 주광(태양광)은 대략 5600K, 텅스텐 조명은 대략 3000K 부근으로 이해하면 현장에서 빠르게 화이트밸런스를 맞출 수 있습니다.

2. 렌즈·초점거리와 화각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넓은 화각(광각), 길수록 좁은 화각(망원)이 됩니다. 센서 크기에 따른 환산화각(크롭 팩터)도 함께 고려해야 동일한 구도를 재현할 수 있습니다.

3. 회절과 해상도 손실

조리개 값을 지나치게 조이면(예: f/16~f/22) 회절로 인해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심도를 확보하되, 렌즈의 최적 해상도 구간(통상 f/5.6~f/8 근처)을 염두에 두면 선예도와 심도의 균형을 잡을 수 있습니다.

4. 심도(Depth of Field)

심도는 초점이 맞아 보이는 범위입니다. 조리개는 조일수록 심도↑, 초점거리는 길수록 심도↓, 피사체까지의 거리는 멀수록 심도↑ 경향을 보입니다.

  • 조리개: f값이 클수록(조임) 심도는 깊어집니다.
  • 초점거리: 길수록 심도가 얕아집니다.
  • 피사체 거리: 멀수록 심도가 깊어집니다.

5. 노출의 개념

노출은 센서(또는 필름)가 받아들이는 빛의 총량입니다. 과소노출은 암부 뭉개짐, 과다노출은 하이라이트 날림을 유발합니다. RAW 촬영은 보정 관용도를 넓혀주지만, 현장에서 적정노출을 맞추는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6. 노출 삼각형

노출은 조리개, 셔터속도, ISO 세 요소의 조합으로 결정됩니다. 상황과 의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부족한 노출은 다른 축으로 보완합니다.

  • 조리개(Aperture): 입사광량과 심도를 함께 좌우.
  • 셔터속도(Shutter Speed): 노출 시간. 움직임 표현(정지/흐림)에 관여.
  • ISO: 센서 감도. 높일수록 노이즈 증가 가능.

7. EV(노출지수)

노출의 상대적 단위를 스톱(stop)으로 다룹니다. 1스톱 증감은 빛의 양이 2배/½배로 변한다는 뜻입니다. 아래 표는 동일 EV를 만들 수 있는 예시 조합입니다.

EV 조리개 셔터속도 ISO
-2f/2.01/250100
-1f/2.81/125100
0f/4.01/60100
+1f/5.61/30100
+2f/8.01/15100

8. 측광과 노출보정

카메라의 기본 측광은 18% 회색을 기준으로 합니다. 화면에 극단적 밝기(설경/역광 등)가 많으면 자동 노출이 빗나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노출보정을 적극 사용하세요.

  • 플러스(+) 보정: 설경, 역광 인물 등 밝은 장면에서 디테일 확보.
  • 마이너스(-) 보정: 야경, 어두운 피사체 등 암부가 많은 장면에서 날림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