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부방 | 50mm

사진공부방

본문 바로가기
50mm 사진기능사 모의고사 & 사진 트렌드 허브

사진공부방

사진기능사 필기 대비: 감광재료

사진 공부방 · 감광재료

#사진기능사#필기시험#필름#아날로그

감광재료는 빛에 반응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는 재료로, 필름과 인화지를 통칭합니다. 디지털 시대에도 아날로그 사진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사진의 기초 소양을 다지는 데 필수적입니다.

1. 흑백 필름의 구조와 성질

흑백 필름은 크게 필름 베이스(지지막), 그 위에 도포된 할로겐화은 유제층, 그리고 보호를 위한 보호막(오버코트)으로 구성됩니다. 빛이 할로겐화은 유제층에 닿으면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이를 현상 과정을 통해 잠상(Latent Image)을 현상(Developing)시켜 눈에 보이는 상으로 만듭니다.

  • 할로겐화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감광성 물질로, 브롬화은($AgBr$) 등이 사용됩니다.
  • 잠상: 빛에 노출된 후 필름에 기록된 눈에 보이지 않는 상.
  • 현상: 화학적 처리를 통해 잠상을 눈에 보이는 은입자로 변환하는 과정.

2. 필름의 종류

필름은 크게 흑백 필름컬러 필름으로 나뉘며, 감광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됩니다.

  • 팬크로매틱(Panchromatic): 모든 가시광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흑백 필름. 대부분의 상용 흑백 필름이 이에 해당합니다.
  • 오소크로매틱(Orthochromatic): 빨간색 계열의 빛에 둔감한 필름. 암실 작업 시 빨간색 안전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컬러 필름: 세 가지 색(빨강, 초록, 파랑)에 반응하는 유제층이 겹쳐 있는 필름. 현상 과정에서 색소가 생성되어 컬러 이미지를 만듭니다.

3. 인화지의 종류와 구분

인화지는 필름의 상을 최종 이미지로 만드는 재료입니다. 인화지의 종류는 크게 인화지 베이스에 따라 구분됩니다.

  • 바라이트(Baryta) 인화지: 종이 베이스에 바라이트 층을 입힌 전통적인 인화지. 안정성이 높고 깊은 흑색 표현이 가능합니다.
  • RC(Resin-Coated) 인화지: 종이 양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코팅한 인화지. 현상 시간이 짧고 건조가 빠르며 평탄성이 우수합니다.
  • 인화지의 등급: 인화지는 콘트라스트에 따라 등급(Gradation)이 나뉩니다. 등급이 낮을수록 콘트라스트가 낮고, 높을수록 콘트라스트가 강해집니다.

4. 상반칙 불궤(Reciprocity Failure)

상반칙(Reciprocity Law)은 '노출량 = 광량 × 시간'이라는 법칙입니다. 예를 들어, f/8, 1/60s의 노출량이 f/11, 1/30s와 동일한 원리입니다. 그러나 노출 시간이 매우 길거나 짧으면 이 법칙이 깨지는데, 이를 상반칙 불궤라고 합니다.

  • 장시간 노출 시: 감광재료가 빛에 둔감해져 실제 노출량보다 부족하게 기록됩니다.
  • 단시간 노출 시: 감광재료가 빛에 충분히 반응하지 못해 노출 부족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장노출 촬영 시에는 이론적인 노출량보다 더 많은 빛을 주어야 합니다. 필기시험에서 빈번하게 출제되는 개념입니다.

5. 특성 곡선(Characteristic Curve)

특성 곡선은 감광재료의 노출량과 농도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곡선을 통해 필름의 감도, 콘트라스트, 관용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토우(Toe): 곡선의 하단부로, 노출이 부족한 영역(암부)입니다.
  • 스트레이트 라인(Straight Line): 곡선의 직선 부분으로, 노출과 농도가 비례하는 영역입니다. 최적의 계조 표현이 이루어지는 구간입니다.
  • 숄더(Shoulder): 곡선의 상단부로, 노출이 과도한 영역(명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