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 공지사항 | 50mm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50mm 사진기능사 모의고사 & 사진 트렌드 허브

공지사항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1회 작성일 25-10-04 23:18

본문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자격·교육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적용 기간: 2024.01.01 ~ 2026.12.31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되는 ‘사진기능사 출제기준’을 공고했다. 새 기준은 디지털 장비 운용과 이미지 프로세싱 역량을 강화하고, 인물·제품·광고 촬영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프로세싱까지 현장 실무를 폭넓게 반영했다.

실기시험은 작업형(약 1시간)으로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실무’ 단일 과목으로 시행된다. 수험자는 사진 제작 기획부터 장비 선정·점검, 조명 운용, 촬영, 후반작업과 출력까지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60문항(1시간)으로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과목에서 사진의 역사, 광학·색채 기초, 촬영기법,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비 운용 등으로 세분화되어 출제된다.

출제기준 요약

구분 주요 영역 세부 내용(발췌)
실기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실무 사진제작 계획 — 정보 검색, 콘셉트 도출, 시안 제작, 의사소통
장비 관리 — 장비 선정·리스트업·점검, 이상 유무 확인
조명 운용 — 자연광·인공광·혼합광 특성/조절, 광질(직사/확산/반사), 조명조건(정면·사광·역광 등)
디지털 암실과 출력 — 캘리브레이션, RAW 보정·합성·편집, 출력 매체 및 설정
아날로그 프로세싱 — 필름카메라 운용, 흑백·컬러 현상과 인화 개요
인물·제품 촬영 — 연출 요소·프레이밍·노출 설정, 촬영 메커니즘과 표현 기법
필기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60문항) 사진의 역사 — 헬리오그라피, 카메라·필름·인화 기술 발달
광학 기초 — 빛의 성질, 광원 특성, 렌즈 원리·종류(표준·광각·망원·줌)
색채 기초 — 색의 성질, KS/ISO 색채규정, RGB·CMYK 혼합, 시지각 효과
사진조명 — 자연광/인공광/혼합광 운용, TTL 모드, 광질과 조명조건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 비트 심도, 픽셀·해상도, 파일 포맷, 색공간·화이트밸런스, 메타데이터, 히스토그램, 프로파일/렌더링 인텐트, 캘리브레이션
장비 운용 — 디지털/필름카메라 특성, 렌즈·액세서리, 출력 장비와 관리
시험시간 실기 약 1시간 / 필기 1시간 실기는 작업형, 필기는 객관식

※ 본 요약은 제공된 ‘출제기준(필기·실기)’ 이미지 자료를 바탕으로 핵심 항목을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응시 전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Q-net) 공고문 원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