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자격·교육
사진기능사 시험, 2024~2026년 출제기준 확정…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강화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되는 ‘사진기능사 출제기준’을 공고했다. 새 기준은 디지털 장비 운용과 이미지 프로세싱 역량을 강화하고, 인물·제품·광고 촬영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프로세싱까지 현장 실무를 폭넓게 반영했다.
실기시험은 작업형(약 1시간)으로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실무’ 단일 과목으로 시행된다. 수험자는 사진 제작 기획부터 장비 선정·점검, 조명 운용, 촬영, 후반작업과 출력까지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60문항(1시간)으로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과목에서 사진의 역사, 광학·색채 기초, 촬영기법,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비 운용 등으로 세분화되어 출제된다.
출제기준 요약
| 구분 | 주요 영역 | 세부 내용(발췌) |
|---|---|---|
| 실기 |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실무 |
① 사진제작 계획 — 정보 검색, 콘셉트 도출, 시안 제작, 의사소통 ② 장비 관리 — 장비 선정·리스트업·점검, 이상 유무 확인 ③ 조명 운용 — 자연광·인공광·혼합광 특성/조절, 광질(직사/확산/반사), 조명조건(정면·사광·역광 등) ④ 디지털 암실과 출력 — 캘리브레이션, RAW 보정·합성·편집, 출력 매체 및 설정 ⑤ 아날로그 프로세싱 — 필름카메라 운용, 흑백·컬러 현상과 인화 개요 ⑥ 인물·제품 촬영 — 연출 요소·프레이밍·노출 설정, 촬영 메커니즘과 표현 기법 |
| 필기 | 사진촬영 및 이미지 프로세싱 (60문항) |
① 사진의 역사 — 헬리오그라피, 카메라·필름·인화 기술 발달 ② 광학 기초 — 빛의 성질, 광원 특성, 렌즈 원리·종류(표준·광각·망원·줌) ③ 색채 기초 — 색의 성질, KS/ISO 색채규정, RGB·CMYK 혼합, 시지각 효과 ④ 사진조명 — 자연광/인공광/혼합광 운용, TTL 모드, 광질과 조명조건 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 비트 심도, 픽셀·해상도, 파일 포맷, 색공간·화이트밸런스, 메타데이터, 히스토그램, 프로파일/렌더링 인텐트, 캘리브레이션 ⑥ 장비 운용 — 디지털/필름카메라 특성, 렌즈·액세서리, 출력 장비와 관리 |
| 시험시간 | 실기 약 1시간 / 필기 1시간 | 실기는 작업형, 필기는 객관식 |
※ 본 요약은 제공된 ‘출제기준(필기·실기)’ 이미지 자료를 바탕으로 핵심 항목을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응시 전에는 한국산업인력공단(Q-net) 공고문 원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사진교육 포털 ‘50mm’ 소개 25.10.06
- 다음글2025년도 정기 기능사 시험일정 및 응시 안내 25.10.04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